NGINX hosting config
- 앞의 posting한 window와 거의 같지만, linux 계열에 설치된 nginx의 경우 config 파일의 위치나 구성이 약간 다릅니다.
/etc/nginx/nginx.conf
- 의 경로에 파일이 nginx의 기본 config 파일 입니다.
- 또한 윈도우와 약간 다른 방식으로 설정을 할 것입니다. 현재 위의 nginx.conf 파일을 직접 수정하지 않고, nginx.conf가 include하는 다른 파일을 수정하여, 원래 기본 설정을 손대지 않은 상태에서 수정가능 하도록 해보겠습니다.
- 아래가 설치만 한상태의 nginx.conf 파일 입니다.
- server 설정부분이 없고, 대신, include라는 키워드가 보입니다.
- include /etc/nginx/sites-enabled/*; 부분의 의미는 /etc/nginx/sites-enabled 경로 아래 모든 파일들을 이 설정에 가져다 붙이 겟다는 의미 입니다.
- 저부분을 무시하고 'http { ' 내부에 직접 server 설정을 해도 상관은 없습니다.
user www-data;
worker_processes auto;
pid /run/nginx.pid;
include /etc/nginx/modules-enabled/*.conf;
events {
worker_connections 768;
# multi_accept on;
}
http {
##
# Basic Settings
##
sendfile on;
tcp_nopush on;
tcp_nodelay on;
keepalive_timeout 65;
types_hash_max_size 2048;
# server_tokens off;
# server_names_hash_bucket_size 64;
# server_name_in_redirect off;
include /etc/nginx/mime.types;
default_type application/octet-stream;
## # SSL Settings
##
ssl_protocols TLSv1 TLSv1.1 TLSv1.2; # Dropping SSLv3, ref: POODLE
ssl_prefer_server_ciphers on;
##
# Logging Settings
##
access_log /var/log/nginx/access.log;
error_log /var/log/nginx/error.log;
## # Gzip Settings ##
gzip on;
# gzip_vary on;
# gzip_proxied any;
# gzip_comp_level 6;
# gzip_buffers 16 8k;
# gzip_http_version 1.1;
# gzip_types text/plain text/css application/json application/javascript text/xml application/xml application/xml+rss text/javascript;
##
# Virtual Host Configs
##
# SSL Settings
##
ssl_protocols TLSv1 TLSv1.1 TLSv1.2; # Dropping SSLv3, ref: POODLE
ssl_prefer_server_ciphers on;
##
# Logging Settings
##
access_log /var/log/nginx/access.log;
error_log /var/log/nginx/error.log;
## # Gzip Settings ##
gzip on;
# gzip_vary on;
# gzip_proxied any;
# gzip_comp_level 6;
# gzip_buffers 16 8k;
# gzip_http_version 1.1;
# gzip_types text/plain text/css application/json application/javascript text/xml application/xml application/xml+rss text/javascript;
##
# Virtual Host Configs
##
include /etc/nginx/conf.d/*.conf;
include /etc/nginx/sites-enabled/*;
}
#mail {
# # See sample authentication script at:
# # http://wiki.nginx.org/ImapAuthenticateWithApachePhpScript
#
# # auth_http localhost/auth.php;
# # pop3_capabilities "TOP" "USER";
# # imap_capabilities "IMAP4rev1" "UIDPLUS";
#
# server {
# listen localhost:110;
# protocol pop3;
# proxy on;
# }
#
# server {
# listen localhost:143;
# protocol imap;
# proxy on;
# }
#}
NGINX Site config 방법
- /etc/nginx/sites-enabled 를 수정하여, 파일 호스팅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.
- 일단 먼저 위 경로로 이동합니다.
cd /etc/nginx/sites-enabled/
- nginx.conf가 먼저 include하고 있는 config directory이다.
- 내부에 default 라는 파일이 있다.
ls -la
default -> /etc/nginx/sites-available/default
- /etc/nginx/sites-available/default 에 symbol link가 걸려 있음을 알 수 있다.
- sites-available 에서 config를 작업 한 후 완료가 되면 sites-enabled에 symbo link를 걸어 nginx에 적용되는 방식이라고 생각된다.
- 일단 default를 수정한다. include /etc/nginx/sites-enabled/*; 가 이미 http 블록 안에 걸려 있으므로 server config만 만들어 내면 된다.
- default내부에 아래와 같은 기본 설정이 볼 수 있다. 앞 포스팅의 window의 nginx config와 거의 동일 하다.
server {
listen 80 default_server;
listen [::]:80 default_server;
# SSL configuration
#
# listen 443 ssl default_server;
# listen [::]:443 ssl default_server;
#
# Note: You should disable gzip for SSL traffic.
# See: https://bugs.debian.org/773332
#
# Read up on ssl_ciphers to ensure a secure configuration.
# See: https://bugs.debian.org/765782
#
# Self signed certs generated by the ssl-cert package
# Don't use them in a production server!
#
# include snippets/snakeoil.conf;
root /var/www/html;
# Add index.php to the list if you are using PHP
index index.html index.htm index.nginx-debian.html;
server_name _;
location / {
# First attempt to serve request as file, then
# as directory, then fall back to displaying a 404.
try_files $uri $uri/ =404;
}
- server_name은 _ 되 있으므로 모든 domain을 커버한다.
- listen포트는 전부 80 port
- root /var/www/html로 기본 파일 경로가 설정되어 있어, root로 설정된 하위 폴더의 파일들이 기본적으로 hosting된다.
- 저 root를 변경하면 개발자가 원하는 folder의 파일들을 hosting 할 수 있다.
- 만약 다른 방법을 원한다면 3가지 선택 사항이 있다.
- port 변경, 추가
- location 변경, 추가
- server_name 변경, 추가
server {
listen 3000 default_server; #1
listen [::]:3000 default_server;
# SSL configuration
#
# listen 443 ssl default_server;
# listen [::]:443 ssl default_server;
#
# Note: You should disable gzip for SSL traffic.
# See: https://bugs.debian.org/773332
#
# Read up on ssl_ciphers to ensure a secure configuration.
# See: https://bugs.debian.org/765782
#
# Self signed certs generated by the ssl-cert package
# Don't use them in a production server!
#
# include snippets/snakeoil.conf;
root /var/www/html;
# Add index.php to the list if you are using PHP
index index.html index.htm index.nginx-debian.html;
server_name www.image.com; #2
location / {
# First attempt to serve request as file, then
# as directory, then fall back to displaying a 404.
try_files $uri $uri/ =404;
#proxy_pass http://127.0.0.1:3003/;
}
location /images/ { #3
root /var/www/images
}
- 위 코드의 #1번 을 보면 port를 3000으로 변경하였다. 이제 3000번 포트로 요청를 보내면 위 config에 설정된 형태로 동작한다.
- 위 코드의 #2번 을 보면 www.image.com domain으로 요청이 들어온 경우 위 config에 설정된 형태로 동작한다.
- 위 코드의 #3번 을 보면 url path에 /image로 들어온 경우 아래와 경로를 root로 잡게 된다.
- 위와 같은 3가지 방법을 섞어 쓰거나, 하나만 설정하여 쓰는 방법으로 다양한 방식으로 요청을 구분하여 처리 할 수 있다.
- 모든 config설정을 마친 후 에는 service nginx reload 또는 stop, start 해야 적용됨을 잊지 말자
'NGIN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NGINX uWSGI 연결하기 (0) | 2020.08.05 |
---|---|
NGIX 설치(on linux ubuntu 18.04) (0) | 2020.03.27 |
NGINX 파일 HOSTING 하기(on Windows) (0) | 2020.03.25 |
NGINX 설치(on windows) (0) | 2020.03.25 |